고전시가.속요.한시 [고대가요] 고공가 / 허 전 구지가 규원가 / 허난설헌 공무도하가 성산별곡 / 정 철 황조가 선상탄 / 박인로 해가(사) 누항사 / 박인로 정읍사 연행가 / 홍순학 [향가] 일동장유가 / 김인겸 서동요(薯童謠) / 서동 농가월령가 / 정학유 혜성가(彗星歌) / 융천사 용부가 / 미상 풍 요(風謠) / 사녀.. 漢詩 공부 2014.05.12
옛 시조(古時調) [가] 올해 댜른 다리 (김 구) 가노라 삼각산(三角山)아 (김상헌) 이런들 엇더하며 (이방원) 가마귀 눈비 마자 (박팽년) 이 몸이 주거 가셔 (성삼문) 가마귀 싸호는 골에 (정몽주 어머니) 이 몸이 주거 주거 (정몽주) 가마귀 검다 하고 (이 직) 이시렴 브디 갈따 (성종) 간밤의 부던 바람에 (유응.. 漢詩 공부 2014.05.12
里仁第四 凡二十六章. 논어 里仁第四 凡二十六章. 子曰: 里仁爲美. 擇不處仁, 焉得知 處, 上聲. 焉, 於虔反. 知, 去聲. ○里有仁厚之俗爲美. 擇里而不居於是焉, 則失其是非之本心, 而不得爲知矣.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마을에 어진 덕을 갖춘 이가 살면 이웃도 그 감화를 받게 되니 좋은 일이다. 어진 이를 택하여 그 .. 漢詩 공부 2014.01.30
里仁 第四|論 語 ( 논 어 ) 里仁第四 凡二十六章. 子曰: 里仁爲美. 擇不處仁, 焉得知 處, 上聲. 焉, 於虔反. 知, 去聲. ○里有仁厚之俗爲美. 擇里而不居於是焉, 則失其是非之本心, 而不得爲知矣.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마을에 어진 덕을 갖춘 이가 살면 이웃도 그 감화를 받게 되니 좋은 일이다. 어진 이를 택하여 그 .. 漢詩 공부 2014.01.30
제3장 팔일편(八佾篇)|論 語 ( 논 어 ) 본 해석은 대양서적(大洋書籍)의 중국사상대계 중의 공자(論語) 편을 참고했습니다. 孔子謂季氏, “八佾舞於庭, 是可忍也, 孰不可忍也?” 공자께서 계씨의 행동을 말씀하셨다. "8佾(64명의 群舞)로 뜰에서 춤을 추게하였다고 하니 이것까지 참을 수 있다면 무엇인들 못 참겠는가?" 三家者.. 漢詩 공부 2014.01.30
독본 논어 구결일람표(讀本 論語 口訣一覽表)|論 語 ( 논 어 ) 더 많습니다만, 복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한국고전번역원에 가면 그냥 다운 받을 수 있슴다. 저에게 개인적으로 메일 주시면 보내드릴 수도 있슴다. 漢詩 공부 2014.01.30
五德오덕|論 語 ( 논 어 ) 五德오덕 다섯 가지 美德미덕 原文원문: 子張曰자장왈 何謂五美하위오미 子曰자왈 君子惠而不費군자혜이불비 勞而不怨노이불원 欲而不貪욕이불탐 泰而不驕태이불교 威而不猛위이불맹. 語譯어역: 자장이 물었다. "오미가 무엇입니까?" 그러자 공자가 말하였다. "군자는 은혜를 베풀되 .. 漢詩 공부 2014.01.30
[論語] <子罕第九>| <子罕第九> 子罕言利與命與仁. 공자께서는 이익과 천명과 인에 대하여서는 말씀을 자주 하시지 않으셨다. 達巷黨人曰, “大哉孔子! 博學而無所成名.” 子聞之, 謂門弟子曰, “吾何執? 執御乎? 執射乎? 吾執御矣.” 子聞之, 謂門弟子曰, "吾何執, 執御乎? 執射乎? 吾執御矣. 달항당의 .. 漢詩 공부 2014.01.30
[論語] <爲政第二>| <爲政第二> 子曰, “爲政以德, 譬如北辰, 居其所而衆星共之.” 공자 말씀하시기를 정치를 덕으로 해야 한다. 비유하자면 북극성이 제 자리에 있는데 뭇 별들이 둘러싸고 있음과 같다. 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 曰, ‘思無邪’.” 공자 말씀하시기를 시경의 300편을 한 마디로 말하.. 漢詩 공부 2014.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