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상식

생지황과 건지황의 지혈 면역작용비교

嘉石,何石 朴浚珉(贊九) 2006. 11. 23. 18:06
생지황과 건지황의 지혈 면역작용비교
2006/03/15 오후 6:29 | 한방약리학

생지황과 건지황의 지혈과 면역작용에 대한 비교연구
지황은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의 차이가 있다. 생지황과 건지황은 차고 시원하고 의 차이가 있고 생지황은 청열생진, 지혈의 효과가 건지황보다 나으며 대부분 온병상음, 고열번갈, 토혈, 해혈등에 사용한다. <명의별록>에서는 “찧어 마신다”고 하였고 <외대비요>에서는 생지황즙을 약에 넣어 산후요통과 산후출혈에 사용하였다. <자모비록>에서는 생지황즙으로 소아설사를 치료하였다. 최근 생약 공급이 수요에 맞추기가 힘들고 생것이 보존이 쉽지 않아서 임상적으로 마른 약재로 그것을 대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대용이 치료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가? 이 글에서는 지혈과 면역작용방면에서 생지황과 건지황의 약리작용에 관한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겠습니다.(실험내용은 생략하겠습니다)
생지황즙의 작용이 가장 강하고 생지황 물에 끓인 액이 다음이고 건지황 물에 끓인 액이 그다음으로 밝혀진다. 이것은 지황을 가열하면 지혈과 면역약리작용과 유관한 활성성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말한다. 이외에도 여기서 사용한 건지황은 비록 건조과정 중에서 가열하지 않고 양건하더라도 그 작용은 생지황 다린 액보다 약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건조과정중에도 몇가지 유효성분의 손실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건지황과 생지황의 작용은 대체로 강약의 차이는 있으나 질적인 차이는 확연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건조과정에서 몇몇 성분의 양이 변화가 발생하나 이것이 화학성분상 질적변화인지 아닌지는 좀더 연구해보아야 할 것이다. 여기서 역사적으로 생지황즙 혹은 생지황 다린 액으로 몇가지 질병(예를 들어 출혈성질병)을 치료한 것은 합리적인 근거가 있으며 임상적으로도 가장 잘 그방법을 따르는 것이된다. 현재 건지황으로 생지황을 대체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과학적 근거가 존재하지 않으며 임상치료효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나아가 숙지황, 건지황, 생지황 간의 약효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화학성분분석을 하여 그 물질적 기초를 알아내어 약을 정확히 사용하는 근거로 삼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