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물의 일부나 특성을 통해 대상을 표현하는 비유법
2. 원관념을 뒤에 숨기고 보조 관념만으로 숨겨진 본래의 의미를 암시하는 비유법
3. 추상적인 정서나 사상을 어떤 구체적인 사물로써 대신 나타내는 것
4. 동일한 형태의 문장이나 구절이 반복되는 것
5. 시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어법에 어긋난 말이나 사투리를 사용하는 것
===============================================================================
(1) 비유법(比喩法) : 표현하려는 대상(원관념)을 그와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다른 대상(보조 관념)에 빗대어 표현함으로써 그 자체의 성질, 모양 등을 뚜렷하고 선명하게 하여 내용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ex) 철수는 걸어다니는 백과 사전이다.
(원관념) (보조관념)
① 직유법(直喩法): 비슷한 점을 지닌 두 대상을 직접적으로 비교하여 표현하는 방법으로, 비유법 중 가장 명료하며 초보적인 방법입니다. 보조 관념에‘~같이, ~처럼, ~인 양 , ~듯이’등의 연결어가 쓰입니다.
ex)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 서정주 '국화 옆에서'
새악시 볼에 떠오는 부끄럼같이 ... 김영랑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돌을 집어 던지면 개금알같이 오드득 깨어질 듯한 맑은 하늘. 물고기 등같이 푸르다. 높게 뜬 조각구름 떼가 해변에 뿌려진 조개 껍질같이 유난스럽게도 한편에 옹졸봉졸 몰려 들었다. ... 이효석 '산'
② 은유법(隱喩法):‘A는 B이다.’식으로 대상의 본뜻을 숨기고 겉으로 비유하는 대상만을 내어 놓는 방법입니다. 직유법과는 달리 연결어가 없는 상태에서 은밀하게 나타내는 고도로 세련된 비유 방법입니다.
ex) ·나의 마음은 고요한 물결 ...김광섭「내 마음」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조지훈 「승무(僧舞)」
·인생의 바다에 일찍이 나아갔다.
③ 풍유법(諷諭法) : 비꼬아 말하고자 하는 원관념을 속뜻으로 숨겨서, 보조관념만으로 원관념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표현 방법입니다. 속담, 격언, 우화, 풍자시, 풍자 소설 등에 많이 쓰이며, 보조 관념이 흥미있고 재치가 있어야 합니다.
ex) ·숭어가 뛰니까 망둥이도 뛴다더니 - 제 처지는 생각하지도 않고, 저보다 나은 사람을 모방하려는 사람을 비꼬는 말
·오비이락(烏飛梨落)이군 - 아무 관계 없이 한 일이 공교롭게도 어떤 다른 일과 때를 같이 하여 둘 사이에 무슨 관계라도 있는 듯한 혐의를 받는 상황에서 하는 말.
④ 의인법(擬人法)과 활유법(活喩法): 의인법은 사람이 아닌 사물을 사람처럼 나타내는 표현법이고, 활유법은 무생물을 생물로 나타내는 표현 기법입니다. 활유법이 보다 넓은 의미이며, 인격성이 부여되었을 때 특히 의인법이라고 한다. 보통 대상에 감정을 이입하여 표현하는 경우에 많이 쓰입니다.
ex) ·활유법 : 으르렁 거리는 파도, 목마른 대지(大地), 잠자는 바다
·의인법 : 침묵의 하늘, 행복한 계절, 위엄 있는 바위, 꽃은 웃고 버들은 손짓한다.
⑤ 대유법(代喩法): 원관념에서 연상되는 어떤 일부분으로 전체를 표현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전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전체를 나타내는 제유법과 부분적인 특징으로 전체를 나타내는 환유법이 있습니다. 즉 제유는 부분과 전체의 속성이 같고, 환유는 부분과 전체의 속성이 다릅니다.
ex) ·제유법 : 약주를 잘 드신다. (약주→술)
빵만으로 살 수 없다. (빵→먹을 것)
·환유법 : 사람을 바지저고리로 아느냐? (바지저고리→못난 사람)
금테가 짚신을 깔본다. (금테→신사, 짚신→시골뜨기)
⑥ 중의법(重義法): 말 하나가 둘 이상의 뜻을 나타내는 표현 방법으로 동양 사람의 옛 글에서 자주 발견됩니다.
ex) ·청산리 벽계수(碧溪水)야, 수이 감을 자랑 마라.
일도(一到) 창해(滄海)하면 돌아오기 어려우니,
명월(明月)이 만공산(滿空山)하니 쉬어 간들 어떠리. ... 황진이 시조
('벽계수'는 푸르고 맑은 시냇물과 사람 이름을 나타내고, '명월'은 밝은 달과 황진이 자신을 나타낸다.)
·아! 강낭콩꽃보다도 더 푸른 그 물결 위에 ... 변영로「논개」
('물결'은 남강의 물결과 역사로 해석될 수 있다.)
(2) 변화법(變化法)
문장이 단조롭고 평범하게 흘러가지 않도록 표현 방법에 변화를 주어 독자의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글의 뜻을 인상 깊게 하기 위한 수사법을 말합니다.
① 반어법(反語法):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와는 정반대로 표현함으로써 보다 큰 효과를 거두는 방법입니다. 문장 그 자체만으로 판단되는 것이 아니라, 앞뒤의 문맥이나 상황에 의해 반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ex) ·요 얄미운 것. (귀엽다.)
·잘한다, 잘해. (잘못했다.)
·잘 먹고, 잘 살아라. (불행해지길 바란다.)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 김소월「진달래꽃」
② 역설법(逆說法): 언뜻 보기에는 어긋나는 말이거나 모순되는 말인 것 같으나, 사실은 그 속에 진리를 담고 있는 표현 방법입니다. 극적인 긴장감을 조성하여 미묘한 정서적 반응을 일깨워 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ex)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 ... 유치환「깃발」
·나는 아직 기다릴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김영랑「모란이 피기까지」
·결별이 이룩하는 축복에 싸여 ... 이형기 「낙화」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죽고자 하는 자는 살겠고, 살고자 하는 자는 죽을 것이다.
③ 도치법(倒置法): 정상적인 언어 배열 순서를 바꾸어 놓음으로써 강한 인상을 주려는 표현 방법을 말합니다.
ex) ·가자, 빨리! ·아름답다, 내 나라여!
·오, 생겨났으면, 생겨났으며, 나보다도 더 나를 사랑하는 이.
·손을 대도 데지 않는다. 그불은. ... 김요섭「꽃」
④ 설의법(說疑法): 분명한 결론을 의문형으로 만들어 독자가 결론을 내리게 함으로써 문장에 변화를 주고 더 큰 효과를 얻으려는 표현 방법입니다.
ex) ·가난하다고 해서 사랑을 모르겠는가. ...신경림 '가난한 사랑 노래'
·그걸 누가 몰라.
·그야말로 용감한 청년이 아닌가.
·꽃 피고 새 우는 봄날의 천지는 얼마나 기쁘며 아름다우냐.
⑤ 문답법(問答法): 독자들이 글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생동감을 느낄 수 있도록 스스로 묻고 답하는 표현 방법입니다.
ex) ·왜 자연을 보호해야 하는가? 그것은 두말 할 필요도 없이 우리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⑥ 돈호법: 사물을 부르는 형태로써 주의를 환기시키고 변화를 주는 표현 방법입니다.
ex) ·아이야, 우리 식탁엔 은쟁반에 / 하이얀 모시 수건을 마련해 두렴. ... 이육사 「청포도」
·검은 손이여, 사라져라. ... 정한모 '어머니'
⑦ 대구법(對句法): 가락이 비슷한 어구를 짝지어서 대립과 병렬의 운치를 주는 표현 방법입니다.
ex) ·하늘엔 영광, 땅에는 평화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빛 / 뒷 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김소월「엄마야 누나야」
(3)강조법(强調法)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보다 강력하게 드러냄으로써, 뜻을 한층 더 강하고 절실하게 나타내는 표현방법입니다.
① 과장법(誇張法): 어떤 사물이나 사실을 표현할 때, 선명한 인상을 주기 위해 실제보다 훨씬 크거나 작게, 또는 많거나 적게 나타내는 표현 방법입니다.
ex) ·집채 같은 파도 ... 최남선 「해에게서 소년에게」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 김영랑「모란이 피기까지」
·이제는 아득한 산꼭대기에 겨우 싸래기만큼이나 햇볕이 남아 있어.
② 반복법(反復法): 같거나 비슷한 말이나 어구,문장 등을 되풀이하여 흥을 돋우거나 뜻을 강조하는 표현 방법입니다.
ex)·산에는 꽃 피네. / 꽃이 피네. / 갈 봄 여름 없이 / 꽃이 피네. ...김소월「산유화」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말갛게 씻을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 박두진「해」
③ 억양법(抑揚法): 먼저 치올리고 다음에 꺾어 누르든지, 먼저 누르고 나중에 치올리든지 하여 글 뜻을 인상 깊게 강조하는 표현 방법입니다.
ex) ·얼굴은 예쁜데, 마음씨가 곱지 못하다.
·그는 많은 단점을 가졌지만, 누구보다도 정의감이 강한 사람이었다.
④ 점층법(漸層法)과 점강법(漸降法): 작은 것, 약한 것, 좁은 것에서 큰 것, 강한 것, 넓은 것으로 표현을 확대하는 것을 점층법이라 하고, 그 반대의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을 점강법이라고 합니다.
ex)·신록은 먼저 나의 눈을 씻고, 나의 머리를 씻고, 나의 가슴을 씻고, 다음에 나의 마음의 모든 구석구석을 하나하나 씻어 낸다.
·첫날엔 오십 리, 다음 날엔 사십 리, 삼십 리, 점점 줄어지다가는, 하루씩 어느 마을에고 들어가 쉬었다.
·집과 마을, 학교와 직장, 나라와 세계에서 이루어지는 사회 생활이 또 우리의 생각과 느낌을 살지게 한다.
... 조지훈「소재와 표현」
⑤ 연쇄법(連鎖法): 앞 구절의 끝 부분을 다음 구절의 머리에서 다시 되풀이하는 표현 방법입니다. 반복법의 하나로도 볼 수 있습니다.
ex)·닭아, 닭아, 우지 마라. 네가 울면 날이 새고, 날이 새면 나 죽는다. ...「심청전」
·고인(古人)도 날 못 보고 나도 고인 못 뵈. / 고인(古人)을 못 뵈도 녀던 길 앞에 있네. /녀던 길 앞에 있거든 아니 녀고 엇뎔고. ... 이황「도산십이곡」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 빨가면 사과, 사과는 맛있어, 맛있으면 바나나, 바나나는 길어, 길면 기차, 기차는 빨라, 빠르면 비행기...
⑥ 영탄법(詠歎法): 감탄하는 말로써 놀라움, 슬픔, 기쁨 따위의 감정을 강하게 나타내는 표현방법입니다.
ex)·아아, 산모퉁이를 돌아 사라져 버린 내 사람이여!
⑦ 대조법(對照法): 뜻이나 정도가 상반되는 사물을 맞세워 중심되는 바를 인상깊게 드러내는 표현방법이다.
ex)·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⑧ 미화법(美化法) : 아름다운 것으로 만들어 나타내거나 높이어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ex)·梁上君子(도둑) ·거리의 天使(고아,거지)
⑨ 열거법(列擧法): 같은 종류의 사물을 크기나 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하는 표현방법입니다.
ex)·기쁘고,슬프고, 노여워하고, 사랑하고, 미워하는 것들이 모두 다 느낌의 움직임이다. ...조지훈「소재와 표현」
'시 창작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현기법이 두드러지는 시 한편 (0) | 2016.07.07 |
---|---|
시어의 표현기법 (0) | 2016.07.07 |
시의 표현기법 (0) | 2016.07.07 |
[스크랩] *표현기법(담아 옴) (0) | 2016.07.07 |
우글우글, 우정과 글쓰기의 향연 - 연암 (0) | 2016.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