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조선왕조실록 73

조선왕조실록 [제27대 순종실록]:1.망국의 황제 순종과 대한제국의 식민지화, 2.순종의 가족, 3. 순종실록 편찬 경위

[제27대 순종실록] 1. 망국의 황제 순종과 대한제국의 식민지화 (1874-1926, 재위 기간 1907년 7월∼1910년 8월, 3년 1개월) 1907년 헤이그 밀사사건 이후 일본은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키고 순종을 등극케 한다. 이후 순종은 일본의 압력에 밀려 별다른 정치적 능력을 발휘하지 못한 채 군대를 해산..

조선왕조실록 [제26대 고종실록]: 3. 떨어지지 않는 녹두꽃 전봉준과 동학혁명, 4. 고종실록 편찬 경위

[제26대 고종실록] 3. 떨어지지 않는 녹두꽃 전봉준과 동학혁명 동학이라고 하면 폐쇄적이고 고리타분한 단순한 민족 종교 단체로 잘못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이 동학은 단순히 서학으로부터 민족의 문화와 국가를 지키겠다는 의미만이 아니라, 서학을 적극적으로 응용하..

조선왕조실록 [제26대 고종실록]: 2. 고종의 가족들 - 흥선대원군 이하응, 명성황후 민씨, 영친왕 이은(이방자여사), 의친왕 이강

[제26대 고종실록] 2. 고종의 가족들 고종은 명성황후 민씨를 비롯하여 7명의 아내에게서 6남 1녀를 얻었는데, 명성황후 민씨가 왕자 척(순종)을 낳았으며, 귀비 엄씨가 영친왕을, 귀인 이씨가 완화군 등 2남을, 귀인 장씨가 의친왕을, 귀인 정씨가 1남, 귀인 양씨가 덕혜옹주를 낳았다. 이들 ..

조선왕조실록 [제26대 고종실록]: 1. 수난의 왕 고종과 조선왕조의 몰락

[제26대 고종실록] 1. 수난의 왕 고종과 조선왕조의 몰락 (1852-1919. 재위 기간 1863년 12월-1907년 7월, 43년 7개월) 안동 김씨의 60년 세도 정치는 왕권을 극도로 약화시켰으며, 그것은 곧 사회의 혼란과 불안으로 이어졌다. 게다가 일본과 서구 열강이 점차 조선을 압박해 오고 있었다. 고종은 이..

[제25대 철종실록]:5. 삼정의 문란과 민란(진주민란)의 발생, 6.조선 말기의 사상운동(동학의 탄생),7.철종실록 편찬경위

[제25대 철종실록] 5. 삼정의 문란과 민란의 발생 철종 연간은 지배층에 의한 농민 수탈이 절정을 이룬 시기였다. 농민 수탈의 주내용은 삼정의 문란으로 요약되는데 전정, 군정, 환곡의 문란이 바로 그것이다. 토지세에 대한 징수인 전정은 본래 토지 1결당 전세 4두 내지 6두로 정해진 전..

[제25대 철종실록]:3.60년간 이어진 안동 김씨의 세도 정권, 4.철종의 가족들

[제25대 철종실록] 3. 60년간 이어진 안동 김씨의 세도 정권 본디 세도 정치라 함은 조광조가 도학의 원리를 정치 사상으로 심화시킨 데서 주창된 것으로 사람들이 표방했던 통치 원리였다. 즉, 천리를 밝히고 인심을 바르게 하며 정학을 복돋는 일 등을 뜻하는 말이었다. 이러한 세도 정치..

조선왕조실록 [제25대 철종실록]:1.농부에서 제왕(철종,정조의 아우 은언군의 손자)이 된 강화도령 원범, 2.세도 정권하에서의 철종의 친정

[제25대 철종실록] 1. 농부에서 제왕이 된 강화도령 원범 철종 시대는 순조 대부터 시작된 안동 김씨의 세도 정치가 절정을 이루던 때였으며, 세도 정치로 인한 탐관오리들의 전횡으로 삼정의 문란이 극에 달해 백성들의 생활이 도탄에 빠져 있던 시기였다. 안동 김씨가 계속 실권을 잡게 ..

조선왕조실록 [제24대 헌종실록]:1.헌종의 즉위와 조선 사회의 총체적 위기,2.헌종의 가족들,3.'헌종실록' 편찬 경위

[제24대 헌종실록] 1. 헌종의 즉위와 조선 사회의 총체적 위기 (1827-1849, 재위 기간 1834년 11월-1849년 6월, 14년 7개월) 헌종 시대는 내우외환으로 후기 조선 사회의 붕괴 조짐이 드러나던 시기였다. 안으로는 순조 대부터 시작된 세도 정치의 여파로 관리 임명의 근간이 되는 과거 제도 및 국가..

조선왕조실록 [제23대 순조실록]:5.조선왕조와 세도 정권을 부정한 홍경래의 난, 6. '순조실록' 편찬 경위

[제23대 순조실록] 5. 조선왕조와 세도 정권을 부정한 홍경래의 난 조선 사회는 19세기에 들어와 더욱 급격하게 변화되어갔다. 광범위하게 진행된 토지 겸병과 농사법의 발달로 농민층의 분해가 가속화되었고, 안동 김씨 세도 정권의 일당 전제로 삼정이 문란해져 농토에서 유리된 농민들..

조선왕조실록 [제23대 순조실록]: 3. 천주교 박해를 통한 벽파의 정권 장악,4. 안동 김씨(김조순) 세도 정권의 성립(순조,헌종,철종 3대 60여년)|

[제23대 순조실록] 3. 천주교 박해를 통한 벽파의 정권 장악 조선의 천주교는 숙종 이후 거의 정치권에서 소외되어 있던 남인 소장 학자들을 중심으로 지식층에 전파되었다. 16세기에도 소현세자나 홍대용 등이 들여온 천주학 서적들에 대한 연구는 있었지만, 종교로 받아들여 정식으로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