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의 개방성, 개화로 이어지다31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실학의 개방성, 개화로 이어지다실학과 개화사상 실학사상 속에 근대 지향적인 요인이 들어있음은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졌지만, 최근 들어 조선 후기 사회 혹은 실학에서 근대성을 찾는 것 자체가 현재의 로망을 과거에 투영한 것일 뿐이라는 시각도 제기..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2019.07.31
유배지의 제자들30 실학과 근대사상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유배지의 제자들다산학단 사의재. 정적의 모함을 받아 모진 고문을 받고 다산이 처음 강진에 도착하여 머문 곳은 주막집이다. <실학박물관 소장> 프롤로그 사의재. 정적의 모함을 받아 모진 고문을 받고 다산이 처음 강진에 도착하여 ..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2019.07.31
실학자가 만든 이슬람식 천문시계29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실학자가 만든 이슬람식 천문시계유금과 아스트롤라베 알려지지 않은 실학자, 유금 실학자로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18세기 실학자 중 유금(柳琴, 1741~1788)이라는 인물이 있다. 유금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실학자 중 한 사람인 유득공의 숙부로 박지원, ..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2019.07.31
조선 후기 역법과 달력 28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조선 후기 역법과 달력전근대 동아시아 시간질서 변화의 단면 달력이 왜 중요한가? 인간의 생활을 시간적인 측면에서 다루는 것이 역사와 달력이다. 이 가운데서도 하늘의 천체의 운동을 살펴보고 예측하는 역은 인간의 시간 생활을 합리적으로 통제하기 ..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2019.07.31
인간이 사는 땅은 네모인가 아니면 구형인가? 27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인간이 사는 땅은 네모인가 아니면 구형인가? 「곤여만국전도」의 전래와 세계관의 변화 이미지 목록 곤여만국전도(왼쪽) 곤여만국전도(오른쪽) 17세기 이후 종래 동양의 우주관인 천원지방을 대신하여 천원지원이라는 서구의 우주관이 전파된 것은 마테..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2019.07.31
실학과 과학 26 실학과 과학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실학과 과학서양과학의 전래와 조선시대 지식인들 조선 후기 과학은 이전 과학과는 다른 양상이 펼쳐졌는데, 가장 큰 특징은 왕립 차원의 과학 연구에서 개인 차원의 과학 연구로 변화하기 시작한 것이다. 전통시대 과학을 대표하는 천문과 지..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2019.07.31
실학자들의 여성관25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실학자들의 여성관실학자들의 여성관은 어떠했을까? 새로운 학문 경향으로서의 실학은 조선 후기 지식 풍토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실학자들은 여성이 처한 현실을 객관적으로 보지 않았다. 여전히 여성의 정조를 중시하고 여성..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2019.07.31
여성 실학자 이빙허각과 『규합총서』 24 실학과 여성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여성 실학자 이빙허각과 『규합총서』 일상생활의 경제를 저술에 담다 호암생가 안채 안방내부. 규합은 안채의 안방을 의미한다. <연합뉴스 제공> 일반인들에게 다소 낯설 수도 있는『규합총서』는 이빙허각의 저술이다. ‘규합’은 여성..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2019.07.31
유학에서 서학으로23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유학에서 서학으로서학의 전래와 실학 책으로 전파된 서학 조선 후기에 중국을 통해 이른바 ‘서학(西學)’이 전래되었다. 17세기부터 시작된 ‘Western Impact’로서 서학은 서양의 과학기술과 종교가 모두 포함된 용어이다. 그러나 18세기 말엽 이후 조선에서..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2019.07.31
의학과 이용후생22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의학과 이용후생어진 재상이 되지 못한다면 차라리 명의가 돼라 연암 박지원은 중국 북경을 다녀오면서 지은 『열하일기』에서 이용후생을 강조했다. 이용을 한 후라야 후생할 수 있고 후생을 한 연후라야 정덕1)(正德) 할 수 있다는 것이다.2) ‘쓰임을 벼.. 실학,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다 2019.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