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유법 직유법 비유법에 대해
초등학생이라 더 반갑군요. 딸 아이가 6학년이거든요?
비유법(比喩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어요.
직유법(直喩法), 은유법(隱喩法), 의인법(擬人法), 활유법(活喩法), 의성법(擬聲法), 의태법(擬態法), 풍유법(諷喩法), 대유법(代喩法), 중의법(重義法), 상징법(象徵法), 우화법(寓話法)
(1) 직유법 : 원관념을 보조 관념에 직접적으로 연결시킨 수사법이다. 이를 '명유(明喩)'라고도 하는데 '찢긴 깃발처럼 허공을 향한 도시의 하늘'과 같이 '마치', '흡사', '∼같이', '∼처럼', '∼양', '∼듯'등의 연결어를 사용하는 기교이다.
(예)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박목월 '나그네'에서>
*꽃의 둘레에는 밀물처럼 밀려오는 언어가 불꽃처럼 타다가 꺼져도 .
<문덕수의 '꽃과 언어'에서>
*한밤에 불꺼진 재와 같이 나의 정열이 두 눈을 감고 조용할 때 .
<양주동의 '조선의 맥박'에서>
*길은 지금 긴 산허리에 걸려 있다. 밤중을 지난 무렵인지 죽은 듯이 고요한 속에서 짐승같은 달의 숨소리가 손에 잡힐 듯이 들리며, 콩포기와 옥수수 잎새가 한층 달에 푸르게 젖었다.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뭇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이효석 '메밀꽃 필 무렵'에서>
(2) 은유법 : 원관념과 보조 관념을 직접적으로 연결시키지 않고 간접적으로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암유(暗喩)'라고도 한다. 전혀 다른 두 가지의 내용을 같은 성질로써 연결시키는 방법으로서, "A(원관념)는 B(보조관념)다."의 형태로서 나타난다. 두 관념의 밀도는 직유보다 강하다. "A like B"의 형태가 직유라면, "A is B"의 형태가 은유이다.
(예)
*소낙비를 그리는 너는 정열의 여인
<김동명 '파초'에서>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 저 푸른 해원을 향하여 흔드는 노스탤지어의 손수건!
<유치환 '깃발'에서>
*내 마음은 호수요, 그대 저어 오오.
<김동명 '내마음'에서>
※ 사은유(死隱喩) : 언중(言衆)들에 의 하여 이해가 될 만큼 일상화되어 버린 은유를 사은유(deadmetaphor)라고 한다.
(예)
언제 이 밤이 가고 새벽이 오려나('밤'은 '암담한 상황', '새벽'은 '희망의 상황'으로 통용됨)
(3) 의인법 : 사람이 아닌 무생물이나 동식물에 인격적 요소를 부여하여 사람의 의지, 감정, 생각 등을 지니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는 대상을 인격화하여 존엄성 있게 나타내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표현은 고대 소설에서도 볼 수 있는데, 작품 전체가 의인화된 소설을 '의인체 소설'이라고 한다. 고대 소설의 '장끼전', '섬동지전', '별주부전', '서동지전'과 춘원(春園)의 '파리' 등이 이에 해당된다.
(예)
*바다여
날이면 날마다 속삭이는
너의 수다스런 이야기에 지쳐
해안선의 바위는
베에토벤처럼 귀가 멀었다.
<신석정 '바다에게 주는 시'에서>
*전나무, 잣나무들만이 대장부의 기세로 활개를 쭉쭉 뻗고
<정비석 '산정무한'에서>
의인법을 활유법에 포함시키기도 하며, '역사의 눈', '문화의 꽃' 등에서처럼 추상적인 대상을 인격적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4) 활유법 : 무생물에다 생물적 특성을 부여하여 살아 있는 생물처럼 나타내는 방법이다. 단순히 생물적 특성을 부여하여 나타내면 '활유법'이고, 인격적 속성을 부여하여 나타내면 '의인법'이다.
(예)
*청산이 깃을 친다.
*대지가 꿈틀거리는 봄이 소리도 없이 다가오면
(5) 의성법 : 어떤 상이나 사물의 소리를 흉내내어 나타내는 방법으로서 '사성법' 또는 '성유법'이라고도 한다.
이는 청각적 이미지를 살리는 방법이다.
(예)
*이 골 물이 주룩주룩 저 골 물이 콸콸 열에 열 골 물이 한데 합수하여 천방저 지방저 소크라지고 펑퍼져 넌출지고 방울져 저 건너 병풍석으로 으르렁 콸콸 흐르는 물결이 은옥(銀玉)같이 흩어지니
<'유산가'에서>
*소상강 기러기는 가노라 하직하고, 조팝 에 피죽새 울고, 함박꽃에 뒤웅벌이요, 방울새 떨렁, 물레새 찌꺽, 접동새 접동, 뻐꾹새 뻐꾹, 가마귀 꼴깍, 비둘기 꾹꾹 슬피우니, 근들 아니 경일쏘냐.
<'토끼 화상'에서>
(6) 의태법 : 어떤 대상을 실감나게 표현하기 위하여 사물의 형태나 동작을 시늉하여 나타낸 기교로서 '시자법'이라고도 한다. 이는 시각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예)
*해는 오르네
둥실둥실 둥실둥실
어어 내 절믄 가슴에도 붉은 해 떠오르네.
둥실둥실 둥실둥실
<김해강 '출범의 노래'에서>
*훤하게 터진 눈 아래 어여쁜 파란 산들이 띠엄띠엄 둘레둘레 머리를 조아리고, 그 사이사이로 흰 물줄기가 굽이굽이 골안개에 싸이었는데, 하늘끝 한 자락이 꿈결 같은 푸른빛을 드러낸 어름이 동해라 한다.
오늘같이 흐리지 않는 날이면, 동해의 푸른 물결이 공중에 달린 듯이 떠보이고 그 위를 지나가는 큰 돛 작은 돛까지 나비의 날개처럼 곰실곰실 움직인다 한다. 더구나 이 모든 것을 배경으로 아침 햇발이 둥실둥실 동해를 떠 나오는 광경은 정말 선경 중에도 선경이라 하나, 화식(火食)하는 나 같은 속인에겐 그런 선연(仙緣)이 있을 턱이 없다.
<현진건 '불국사'에서>
(7) 풍유법 :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직접적으로 나타내지 않고 그 내용을 다른 이야기나 속담, 격언, 문장 등으로써 간접적으로 나타내려는 내용을 속에 숨기고 그것을 뒤에서 암시하는 방법으로서, 이를 '우의법(寓意法)' 또는 '우유법(寓喩法)'이라고도 한다. 풍유로 표현하기 위하여 도입된 비유는 문장 전체에 사용되기 때문에 그 본뜻은 추측할 수밖에 없다.
(예)
㉠ 남의 잔치에 배 놓아라 감 놓아라.
㉡ 빈 수레가 더 요란하다.
㉠은 쓸데없이 남의 일에 간섭한다는 뜻을, ㉡은 지식이 없고 교양이 부족한 사람이 더 아는 체 한다는 뜻을 간접적으로 나타낸 말이다. 때로는 작품 전체가 풍유로 나타나기도 한다.
(예)
*간밤의 부던 바람에 눈서리 치단말가.
낙락 장송이 다 기우러 가노매라.
하물며 못다 핀 곳이야 일러 므슴하리오.
<유응부>
(8) 대유법 : 직접 그 사물의 명칭을 쓰지 않고, 그 일부분으로써 혹은 그 살물의 특징으로써 전체를 나타내는 방법으로서 이에는 '제유법'과 '환유법'이 있다. '제유법'은 같은 종류의 사물 중에서 어느 한 부분으로써전체를 알 수 있게 표현하는 방법이고, '환유법'은 표현하고자 하는 사물의 특징으로써 전체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예)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들'은 국토)
<이상화의'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에서>
㉡ 금수강산 (대한민국)
위의 두 글에서 ㉠은 제유법이고, ㉡은 환유법이다. ㉠의 '들'은 국토의 일부로서 '국토'를 나타내었고, ㉡의 '금수강산'은 우리 나라의 특징으로서 '우리 나라'를 나타내었다.
(9) 중의법 : 하나의 말을 가지고서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두 가지 의미란 단어가 지니고 있는 파생적인 의미나 유사성이 아니라, 전혀 다른 개념과 뜻을 재치있게 함께 지니고 있는 것을 말한다.
(예)
*수양산 바라보며 이제를 한하노라.
주려 죽을진들 채미도 하난 것가.
비록애 푸새엣것인들 긔 뉘 따해 났다니.
<성삼문>
'수양산'은 중국의 '수양산'과 조선 시대 '수양 대군'을 뜻하고, '채미'와 '푸새엣 것'은 '고사리'와 '수양대군의 녹'을 뜻한다.
(10) 상징법 : 원관념은 겉으로 나타나지 않아 암시에만 그치고 보조 관념만이 글에 나타난다. 이는 은유법과 비슷하지만 원관념이 직접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르다. 그러나 원관념이 나타나 있지 않아도 그 표현만으로써 원관념을 짐작할 수 있다면 그것은 은유법이다.
(예)
*해야 솟아라, 말갛게 씻은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산 너머서 어둠을 살라 먹고, 산 너머서
<박두진의 '해'에서>
이 시에서 '해', '어둠' 등은 상징법이다.
(11) 우화법 : 원관념은 나타나지 않고, 보조 관념만으로써 뜻을 암시한다는 점에서는 풍유법과 같다. 그러나 풍유법은 반드시 동물이나 식물이나 식물이 등장하지 않고 사람이 주인공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우화법은 비인격적인 것이 모두 인격화되어 나타난다. 동물이나 식물의 속성과 풍습으로써 인간의 속성과 풍습을 암시하는 방법 등이다. 이솝 우화가 그 대표적인 것이다.
한빛국어교실 운영자 광양제철고등학교 김정환
대유법(代喩法) : 대유법이란 어떤 사물을 있는 그대로 나타내지 않고, 그것을 대표하는 것을 내세우는 방법입니다. 대유법은 또 두 가지로 나뉘는데, 제유법과 환유법입니다.
환유법 : 한 사물에 관계있는 사물을 빌어 나타내거나 기호로써 나타내는 것을 대신하거나 소유물로써 주인을 알게 하는 등의 기법. 예: 샤일록만 사는 마을이다(샤일록=구두쇠), 내가 바지저고리로 보이냐(바지저고리=얼간이) 환유법은 비슷한 '특징'을 내세워 원관념과 치환, 즉 바꿔치는 경우입니다. '요람에서 무덤까지' 에서 요람은 태어남, 무덤은 죽음을 나타냅니다. 사실상 요람이 있어야 사람이 태어나고, 무덤이 있어야 죽고 하는 것은 아니지만 태어남과 죽음에 있어서 밀접한 관련을 갖는 사물인 것이죠. '펜은 칼보다 강하다'도 같은 맥락입니다.
제유법은 부분을 내세워 전체를 대표하도록 만드는 방법입니다. 일부분으로 모든 것을 나타내는 방법이죠. 이상화의 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에서 빼앗긴 들은 들뿐만 아니라 산, 강, 섬 등 우리의 모든 국토를 의미합니다. 그럼에도 빼앗긴 들, 산, 강, 섬 등이라고 하지 않고 들 하나만 내세운 것이죠.
문학에서 하나의 사물이나 관념을 나타내는 말이 경험적으로 그것과 밀접하게 연관된 다른 사물이나 관념을 나타내도록 표현하는 수사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흰옷’으로 우리 민족을, ‘백의(白衣)의 천사’로 간호사를, ‘요람에서 무덤까지’로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를 나타내는 것 따위이다.
http://hanlover.new21.org/susabeob/susabeob1.htm
대유법 [代喩法]
수사법의 하나.
어떤 사물이나 관념을
그것과 비슷하거나 관련있는 다른 사물이나 관념을 들어서 표현한다.
제유법(提喩法)과
환유법(換喩法)을 하위범주로 두지만
환유법을
대유법이라고 하기도 한다.
제유법은
부분으로 전체를 표현하거나
그 반대로
전체로 부분을 표현하는 것으로
펜은 칼보다 강하다
인간은 빵으로만 살 수 없다 는 것이 그 좋은 예이다.
여기서
펜·칼·빵은
환유법은
사물의 속성으로 실체를 환기시키는 것으로
간호사를 뜻하는 백의의 천사나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를 뜻하는
요람에서 무덤까지가 좋은 예이다.
대유법 [代喩法]
수사법 중 비유법의 하나.
한 낱말 대신에
다른 낱말을 사용하는 표현법이다.
대유법을
일반적으로 대유법은
환유법과 제유법(提喩法)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환유법은
나타내고자 하는 관념이나 사물을
그것과
공간적으로나
논리적으로 인접한 다른 관념이나
사물을 지칭하는 말로써 대신하는 비유법이다.
공간적인
인접성에 바탕을 둔
환유법의 대표적인 예로서
흔히 지적되는 것은
도구나 장구(裝具)로써
그것을 사용하는 인물을 대신 나타내는 표현을 들 수 있다.
삽 과
왕관 이라는
표현을 이용하여
각기
평민과 왕을
대신하게 하는 것이 그 구체적인 예이다.
또한
용기로써
그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나타내는 것이나
예
: 한 잔 마셨다. 에서
잔이
그 용기의 내용물인
음료수나 술을 대신하는 것
건물로써
그 건물에 거주하고 있는 인물을 나타내는 것
예
: 백악관에서
중대정책을 고려중이다. 라는 언어표현에서
백악관이 미국 대통령을 대신 나타내는 것
그리고
의복으로써
그 옷을 입은 사람을 나타내는 것
예
: 백의민족(白衣民族)의 소원은 통일 에서
백의민족 이 한(韓)민족을 대신하는 것 등이
모두 공간적 인접성에 바탕을 둔 환유법들이다.
한편
논리적 인접성에 근거한 환유법은
원인으로써 결과
또는 결과로써 원인을 대신 나타내는 것인데
독약을 마시면 죽는다.
또는
총알을 맞으면 죽는다.라는
인과관계에 근거하여
독약을 마셨다. 대신에
죽음을 마셨다.고 한다든지
빗발 같은 총알을 뚫고 대신에
빗발 같은 죽음을 뚫고로 표현하는 것 등이 그 예이다.
제유법은
어떤 사물의 부분 또는
특수성을 나타내는 단어로써
그 사물의 전체 또는
일반성을 대신한다는 점에서
환유법과
구별되는 비유법이다.
예를 들어
빵이 아니면
죽음을 달라 에서
빵이
나타내고 있는 것은 식량 전체이다.
또한
칼로써 무기전체를
대신하게 하는 것도 제유법의 예이다.
한편
부분을 전체로 전환시키는 것과는 반대로
전체로써
부분을 나타내는 방법도
제유법이라고 할 때가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부분으로써 전체를
나타내는 것에 국한하여 제유법이라고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대유법은
다른 비유법
구분이 잘 안 될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구별로는
대유법은
표현 대상과
그것의 대유적 대치물 사이의
인접성에 기반을 둔다는 것이고
은유법은
표현 대상과
그것의 은유적 대치물 사이의
유사성 혹은 유추에 기반을 둔다는 것이다. →비유법, 은유법, 수사법
제유법 [堤喩法]
수사법 중
비유법의 하나.
대유법의 하위 범주이다.
흔히
전체를 그 전체의 일부분으로
혹은
일부분을
그 전체로 표현하는 것으로
어떤 사물의 부분 또는
특수성을 나타내는 단어로써
그 사물의
전체 또는 일반성을 대신하는 비유법이다.
약주를
잘 드신다. 에서
약주는
술전체를 뜻하며
빵만으로 살 수 없다. 에서
빵은
우리의
음식물전체를
대신해주는 뜻을 지닌다.
이 때
약주나 빵은
술과
음식물등을
대표하는 표현법이다.
환유법 [換喩法]
수사법 중
비유법의 하나로
대유법의 하위 범주 용어.
대유법을
곧 환유법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대유법은
환유법과 제유법(提喩法)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하나의 관념을
연상시키는 그 무엇이
그 관념의 표시를 위해서 사용된다.
기호(記號)가 지시(指示)하는 사물을
용기(容器)가 담기는 사물을 암시하는 경우이다.
의복으로써
그 옷을 입은 사람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호사를 뜻하는
백의의 천사라든가
용기로써
그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 잔 마셨다에서
잔 이 그 용기의 내용물인
음료수나 술을 대신하며
또한
그 용기에 담긴 내용물인
술을 의미하는 대포가 그 예이다.
도구나
장구(裝具)로써
그것을
사용하는 인물을
대신 나타내는 표현으로
삽과 왕관이
각기 평민 과 왕을 대신하게 하며
건물로써
그 건물에
거주하고 있는
인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청와대에서 중대 정책을 고려중이다. 라는 언어표현에서
청와대가
우리나라 대통령을
대신 나타내는 것 등으로 이러한 표현이
모두 공간적 인접성에 바탕을 둔 환유법들이다.
또한
논리적 인접성에 근거한 환유법은
원인으로써 결과
또는 결과로써 원인을 대신 나타내는 것인데
독약을 마시면 죽는다. 라는 인과관계에 근거하여
독약을 마셨다.대신에 죽음을 마셨다.는 표현 등이 그 예이다.
'시 창작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유법과 은유법 구상 (0) | 2019.07.10 |
---|---|
직유법과 은유법 (0) | 2019.07.10 |
[시창작 강의] 나는 시를 이렇게 쓴다 - 김경주 (0) | 2018.10.09 |
시어의 표현 기법 (0) | 2016.07.07 |
시 교목의 표현기법 (0) | 2016.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