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유법과 은유법은 문장표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비유법이다
- 직유법은 a같은 b, a는 b처럼 형식을 띤다
. 표현하고자하는 대상, 즉 원래의 생각(원관념)에 비유가 동원된 생각(보조관념)을
고리로 연결해 놓은 것
. ~처럼, ~같이, ~듯이, ~듯싶다, ~마냥, ~인양 등
. 직유는 뜻을 쉽게 알수 있어 친근감과 소탈감 제공
. 그러나 연결고리가 있어 군더더기가 있고 너덜한 느낌을 준다
. 보조관념의 제시에 국한되어 노력도가 적은 것처럼 보이고, 표현에 자신감이 약해 보인다
. 안내원이나 누님처럼 다정다감한 느낌을 준다
. 동요나 동시에 많이 사용된다
- 은유법은 a는 b이다 의 형식을 갖는다
. 직유에서 사용하던 고리를 생략한 모양으로 나타난다
. 그러므로 " 무엇은 무엇이다 "의 형식을 띤다.
. 연결고리가 생략되어 깨끗하고 깔끔한 느낌을 준다
. 단정적이어서 독자들에게 작자의 느낌을 강하게 어필할 수 있다.
. 은유는 거만해보이고 차갑게 보인다
. 은유적 표현이 실패하면 직유보다 더 손실(이해 곤란)이 크다
. 관념시, 추상시 등에 많이 사용된다
- 직유와 은유의 예시
< 직유법 > < 은유법 >
(1) 옥색 비단을 깔아 놓은 것같은 강 (1) 강은 옥색 비단이다.
(2) 진한 쑥물을 부려 놓은 듯한 산 (2) 산은 진한 쑥물이다.
(3) 쪽물을 들여 놓은 듯싶은 하늘 (3) 하늘은 쪽물이다.
(4) 은행잎들이 노랑나비들의 시체처럼퍼덕거리고있다.
(4) 은행잎들은노랑나비들의시체이다.
(5) 함박꽃마냥 눈송이가 쏟아지고 있다. (5) 눈송이는 함박꽃이다.
(6) 황소같이 큰 파도들이 모래톱을 들이받고 있다. (6) 파도는 황소이다.
(7) 직유법은 안내원이나 누님처럼 다정다감한 비유법이다.(7) 직유법은 안내원이나 누님이다.
- 직유법과 은유법 중 어느 것이 더 좋다고 한 마디로 잘라 결론내릴 순 없지만
평단에서는 일반적으로 은유법을 더 수준 높게 보는 경향이 있다.
- 비유법의 선택은 글쓰는 이의 개성과 취향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얼마든지 자유다
'시 창작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언 용언 상징법 은유법 직유법 의인법 환유법 제유법 풍유법 (0) | 2019.07.10 |
---|---|
직유법과 은유법 구상 (0) | 2019.07.10 |
은유법 직유법 비유법에 대해 (0) | 2019.07.10 |
[시창작 강의] 나는 시를 이렇게 쓴다 - 김경주 (0) | 2018.10.09 |
시어의 표현 기법 (0) | 2016.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