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창작 배우기

직유법과 은유법 구상

嘉石,何石 朴浚珉(贊九) 2019. 7. 10. 15:36



직유법(直喩法)

비슷한 성질이나 모양을 가진 두 대상을 ~같이, ~듯이, ~처럼 ~ 인 양 등의 연결어와 결합하여 직접 비유하는방법을 말한다. 직유법은 은유법과 달리 앞서 말한 연결어가 사용된다는 점을 기억하면 구별하기가 쉽다.

원관념 (원래 나타내려는 대상)

보조관념 (비유되는 대상)

천사같이 착한 영희 (원관념 : 착한 영희 보조관념 : 천사 )

연결어 ( ~같이, ~듯이,~처럼,~인 양)와 결합하여 직접 비유합

실제예시 )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 박목월 <나그네> 중에서

여기서 나그네라는 원관념을 구름에 달이 지나가는 모습의 보조관념으로 으로 빗대어 표현

​                           

은유법(隱喩法)

은유법은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연결어 없이 바로 연결되어 표현하려는 대상을 암시적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표현방식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A는 B이다'라는 문장을 사용하여 다른 대상을빗대어 암시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인 것이다. (하지만 'A는 B이다' 라는 형식을빌리지 않고 원관념을 숨기고 드러내기도 함)

다시 정리하자면 은유법은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연결어 없이 바로 연결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A(원관념)는 B(보조관념)이다'의 형태로 표현되는 것이다.

원관념

보조관념

내 마음은 호수요 (원관념 : 내 마음 , 보조관념 : 호수) = 'A는 B이다(요)'

직유법과 달리 연결어 없이 원관념과 보조관념이 바로 연결됨

실제 예시 )

내 마음은 낙엽이오 그대의 뜰에 머물고 싶소

여기서 원관념 내 마음을 보조관념인 낙엽에 빗대어 표현했다. 이어지는 뒤의 구절을 보면 알겠지만 나는 항상 그대의 곁에 머물고 싶은 마음을 낙엽이 되어 그대의 뜰에 머물고 싶다고 표현한 것이다.

                        


(실전 적용 )

다음 인용된 시의 구절을 참고하여 아래 구절에 사용된 수사법이 무엇이고

원관념과 보조관념은 무엇인지 찾아보자

1) 그것은가죽으로 만든 것이었다.

날뛰는 내 발을 집어넣기 위해 만든 작은 감옥 이었던 것

- 송찬호 <구두> 중에서

표현법

원관념

보조관념

은유법

구두

(원관념이 직접 드러나 있지는않으나 시의 문맥을 통해 짐작할 수 있음)

작은 감옥

2)

가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봄 한 철

격정을 인내한

나의 사랑이 지고 있다.

분분한 낙화

결별이 이룩하는 축복에 싸여

지금은 가야 할 때.

무성한 녹음과 그리고

머지않아 열매 맺는

가을을 향하여

나의 청춘은 꽃답게 죽는다.

헤어지자

섬세한 손길을 흔들며

하롱하롱 꽃잎이 지는 어느 날.

나의 사랑, 나의 결별

샘터에 물 고인 듯 성숙하는

내 영혼의 슬픈 눈.

이형기 <낙화>

표현법

원관념

보조관념

은유법

나의 사랑, 나의 청춘

나의 결별

낙화(꽃이 떨어짐)

직유법

슬픈 눈

샘터에 물이 고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