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창작 배우기

직유법과 은유법

嘉石,何石 朴浚珉(贊九) 2019. 7. 10. 15:54




직유법과 은유법

                                                                                                                                                                                                                                                                                                                                                                                                                                                                                                                                                                                                                                                                                                                                                                                                                                                                                                                                                                                                                                                                                                                                                                                                                                                                                                                                                                                                                                                                                                                                                                                                                                                                                                                                                                                                                                                                                                                                                                                                                                                                                                                                                                                                                                                                                                                                                                                                                                                                                                                                                                                                                                                                                                                                       


비유적 표현의 뜻

어떤 형상이나 사물을 비슷한 현상이나 사물에 빗대어 표현한 것입니다.
비유적 표현에 등장하는 두 대상 사이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비유적 표현의 좋은 점

비유적 표현을 읽으면 생생한 느낌이 듭니다.
비유적 표현을 읽으면 장면이 쉽게 떠오릅니다.
비유적 표현을 읽으면 내용을 이해하기 쉽습니다.



비유적 표현의 종류

직유법

'……같이', '……같은', '……처럼' 등으로 표현하는 방법
(예) 쟁반같이 둥근 달

은유법

'……은/는 ……이다'로 표현하는 방법
(예) 텔레비전은 바보상자이다.

의인법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처럼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
- 새들이 노래를 한다.
- 활짝 핀 꽃들이 방긋 웃는다.
- 강물이 말없이 흐른다.


시 "길"의 특징

사람들이 살고 있는 세상의 모습을 포도의 여러 모습에 비유한 시입니다.

"길" 에 나오는 비유적 표현 찾아보기

길과 포도 덩굴(은유법) : 여러 군데로 나 있는 길의 모습이 포도 덩굴이 뻗어 있는 모습과 닮았습니다.

이미지 확대보기

길은 포도 덩굴(은유법)

마을과 포도송이(직유법) : 길마다 자리 잡은 마을의 모습이 포도 덩굴 가지마다 붙어 있는 포도송이와 닮았습니다.

이미지 확대보기

포도송이 같은 마을(직유법)

집과 포도알(직유법) : 집들이 모여 마을을 이루듯이 포도알이 모여 포도송이를 이룸.

이미지 확대보기

포도알 같은 집(직유법)



"목련 그늘 아래서는"

시 "목련 그늘 아래서는"의 특징

목련이 꽃봉오리를 맺고 꽃을 피우는 모습을 물새알 껍질을 깨고 나온 새가 날아오르는 모습에 비유하여 표현한 시입니다.

"목련 그늘 아래서는"에 나타난 비유적 표현 잦아보기

시에 나타난 비유적 표현 : 꽃봉오리(대상)와 물새알(비유적 표현)
공통점 : 목련 꽃봉오리와 물새알의 색깔과 생김새가 닮음.

시에 나타난 비유적 표현 : 목련 꽃잎이 살짝 벌어진 모습(대상)와 흰 부리(비유적 표현)
공통점 : 목련 꽃잎이 살짝 벌어진 모습이 새의 부리와 닮음.



"풀잎과 바람"

시 "풀잎과 바람"의 특징

친구를 ‘풀잎’과 ‘바람’에 비유하여 친구를 좋아하는 마음을 표현한 시입니다.

"풀잎과 바람"에 나타난 비유적 표현

이미지 확대보기

풀잎 같은 친구(직유법)

이미지 확대보기

바람 같은 친구(직유법)



"어부지리"

"어부지리" 글의 특징

연나라의 소대라는 사람이 연나라, 진나라, 조나라가 처한 상황을 각각 조개, 어부, 황새로 비유하여 조나라 왕을 설득하여 전쟁을 막은 이야기입니다.

"어부지리"에 나타난 비유적 표현

이미지 확대보기

연나라 - 조개

이미지 확대보기

조나라 - 황새

이미지 확대보기

진나라 - 어부



"우주 호텔"

"우주 호텔" 의 특징

종이를 줍느라 땅만 보며 살던 종이 할머니가 아이의 그림을 보고 삶을 다시 사랑하게 된 이야기로, 우리가 살면서 쉽게 놓치게 되는 삶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게 해 줍니다.

"우주 호텔" 에 나타난 비유적 표현 찾아보기

(종이) 할머니 →수수깡
눈빛 → 안개
눈에 혹이 난 할머니 → 흐무러진 살구
(그) 돈 → 부스러기
눈 → 쪽빛 가을 하늘
아이(메이) → 날다람쥐
그(포도) 알갱이 → 유리로 만든 바다
입 → 개구리(의 입)
별(들) → 바람개비
종이 할머니 → 비둘기
여기 → 우주 호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