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재소설 > 광 화 문......서기원[559] < 연재소설 > 광 화 문......서기원[559] 입력 : 1995/10/31 16:43 조선일보 %%%%%% 하늘거리는 등불 (37) %%%%%%. 동짓달 초순. 김옥균은 오경석의 부고를 받았다. 오경석은 병자 년 수호조약을 체결할때, 고문격인 비공식 수행원으로 대표 신 헌을 도왔다. 당시 대원군은 조약은 물론 협상자체를 .. 나의할아버지 연암박지원 및 환재공 2018.10.12
[한말 평안감사] 환재 박규수 초상화 첫 공개 [한말 평안감사] 환재 박규수 초상화 첫 공개 입력 : 1996/10/19 19:24 조선일보 1866년 대동강에 불법 침입한 미국의 무장상선 제너럴셔먼호 격침을 직접 지휘 했던 평안감사 환재 박규수(1807∼1877년)의 초상화가 처음으 로 공개됐다. 가로 26㎝ 세로 32㎝ 크기의 비단에 세필로 그린 이 초상 화.. 나의할아버지 연암박지원 및 환재공 2018.10.12
[박종인의 땅의 歷史] 흰 소나무는 보았다, 주인 잃은 집터와 나라를 입력 2017.08.24 03:06 | 수정 2017.08.24 10:59 조선일보 박종인 여행문화 전문기자 [박종인의 땅의 歷史] 흰 소나무는 보았다, 주인 잃은 집터와 나라를 [88] 재동 헌법재판소의 비밀과 경술국치(庚戌國恥) 헌법재판소가 있는 서울 재동 83번지… 구한말 역사의 소용돌이 휩쓸고 간 무대 개혁파 박.. 나의할아버지 연암박지원 및 환재공 2018.10.12
咀實其測(저실기측) 含英之出(함영지출) 咀實其測(저실기측) 含英之出(함영지출) -문장작성의 명 글귀- - 燕巖 朴趾源(1737 ~ 1805)이 쓴 편액 (단국대 소장)- 咀實其測[저실기측]: 열매를 씹어서 (깊이 음미하여) 헤아리고 (독서/학문에 문장을 깊이 연구하고 체득하여 ) 含英之出[함영지출]: 그 꽃술을 (입에 머금었던 것을) 뱉어내라... 나의할아버지 연암박지원 및 환재공 2018.09.20
한민명전의(限民名田議)-박지원(朴趾源) 한민명전의(限民名田議)-박지원(朴趾源) 백성의 명전을 한정하는 의논-박지원 臣趾源(신지원) : 신 박지원은 誠惶誠恐(성황성공) : 황공하게도 因進農書而獻議曰(인진농서이헌의왈) : 농서(農書)를 가리킴)를 올리면서 이 기회에 건의를 드립니다. 臣今所守郡境(신금소수군경) : 신이 지금.. 나의할아버지 연암박지원 및 환재공 2018.09.02
경향신문 1998년10월22일자 연암 매거진 연암할아버지 영정사진은 동강 권오창화백이 상상으로 그려서 실제 영정사진이 아님을 밝힙니다. 나의할아버지 연암박지원 및 환재공 2018.08.27
연암 박지원-관련 논문자료 총정리 논문 자료 ? 김일근. <연암소설의 근대적 성격>. <<논문집>> 1집. 대구: 경북대학교, 1956. ? 서옥호(徐玉虎). <박지원 열하일기 고증(朴趾源熱河日記攷證)>(중문).<<대륙잡지>>13-6, 1956. ? 이우성. <실학파의 문학 - 박연암의 경우 ->.<<국어국문학>>16호. 서.. 나의할아버지 연암박지원 및 환재공 2018.08.05
김동석 교수의 열하일기 다시 읽기_04 [김동석 교수의 열하일기 다시 읽기_04] 다시 태어나듯 울었다 [출처] [김동석 교수의 열하일기 다시 읽기_04] 다시 태어나듯 울었다|작성자 섬 명에서 청으로 거대 제국의 이름이 뒤바뀐 지 한 세기 반. 다양한 문화 이민족들이 저마다의 개성을 분출하고, 커다란 명분 대신 구체적인 실리.. 나의할아버지 연암박지원 및 환재공 2018.08.05
김동석 교수의 열하일기 다시 읽기_02 [김동석 교수의 열하일기 다시 읽기_02] 박지원과 함께 북경으로 간 사람들 김동석_열하일기 다시 읽기 / 작가들을 초대하다 2014. 11. 17. 14:02 [출처] [김동석 교수의 열하일기 다시 읽기_02] 박지원과 함께 북경으로 간 사람들|작성자 섬 명에서 청으로 거대 제국의 이름이 뒤바뀐 지 한 세기 .. 나의할아버지 연암박지원 및 환재공 2018.08.05
瓛齋 朴珪壽 연구 瓛齋 朴珪壽 연구 “냉철한 눈으로 시무 살피며, 마음 비우고 고서 읽노라 (冷眼看時務 虛心讀古書)” 저자는 박규수를 통해 19세기의 총체적 진실에 접근하고자 하므로 다양한 분야의 學制間 연구를 시도하였다. 문학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사와 사상사 연구의 영역까지 살펴보았고, 한국.. 나의할아버지 연암박지원 및 환재공 2018.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