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할아버지 연암박지원 및 환재공 501

환재 박규수의 한시

박규수(朴珪壽,1807,순조7∼1877,고종14)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다. 자는 환경(桓卿)이고 호는 환재(瓛齋)이며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박지원(朴趾源)의 손자다. 젊어서 효명세자(孝明世子)와 교유했으나 세자의 급서(急逝)와 부모의 연이은 사별로 칩거하여 을 읽고 실학적 학풍을 마련했다. 1848년(헌종14)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 병조정랑, 용강현령, 1850년(철종1) 부안현감, 이듬해 장령, 교리, 1854년 동부승지, 경상좌도 암행어사, 1858년 곡산부사, 1861년 열하부사(熱河副使)로 중국에 가서 국제정세를 보고 왔다. 1862년 진주민란 안핵사, 이듬해 이조참의, 1864년(고종1) 도승지, 대사헌, 제학, 이조참판, 1865년 한성판윤, 공조판서로 경복궁 영건도감 제조(提調)를 겸하였..

박규수朴珪壽 1807년(순조 7)~1877년(고종 14) 절록한 환재 선생의 행장 초본 -박선수

박규수朴珪壽 1807년(순조 7)~1877년(고종 14) 본관은 반남(潘南). 초명은 박규학(朴珪鶴), 초자(初字)는 환경(桓卿), 자는 환경(瓛卿) 또는 정경(鼎卿), 초호(初號)는 환재(桓齋), 호는 환재(瓛齋) 또는 환재거사(瓛齋居士). 서울 출신. 북학파 거두 박지원(朴趾源)의 손자로, 현령 박종채(朴宗采)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유영(柳詠)의 딸이다.생애 및 활동사항가세가 빈한해 어려서는 주로 아버지에게 수학했고, 소년시절에는 진외당숙(陳外堂叔) 이정리(李正履)·이정관(李正觀)과, 외종조부 유화(柳訸) 등에게서 훈도받았다.15세경에는 이미 조종영(趙鍾永) 등과 망년지교(忘年之交)를 맺을 만큼 학문적으로 성장하였다. 20세 무렵 효명세자(孝明世子)와 교유할 때는 문명(文名)이 널리 알려지고 있었다...

연암 박지원 칠사고

추상 연암박지원 지방행정서, 칠사고 51) 김, 문식* 명양자프녹은 박지원이 쓴 시와 프로세서에 담긴 책이다 그는 미천의 카운티 지도자였다. 이제 책은 연민문고의 컬렉션이다. 댄 대학. 1799년 5월부터 1800년 8월까지 이 책이 만들어졌던 것 같아요. 책은 6 권만 남아 있지만 박지원 자신이 편집했습니다. 미에온양자프녹에는 칠사고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박의 손으로 쓰는 것과 인쇄된 스타일의 다른 글은 그의 책에 의해 다시 쓰여진다 칠사고는 29개 항목, 190개의 클라우즈, 114개의 세부사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모크밍고에서 여러 지역 행정 책에서 데이터를 추출합니다. 칠사고의 콘텐츠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박지원은 고산층의 지방정부 공무원들을 위한 책을 편집했다. Bak은 지방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