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규수(朴珪壽,1807,순조7∼1877,고종14)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다. 자는 환경(桓卿)이고 호는 환재(瓛齋)이며 본관은 반남(潘南)으로 박지원(朴趾源)의 손자다. 젊어서 효명세자(孝明世子)와 교유했으나 세자의 급서(急逝)와 부모의 연이은 사별로 칩거하여 을 읽고 실학적 학풍을 마련했다. 1848년(헌종14)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 병조정랑, 용강현령, 1850년(철종1) 부안현감, 이듬해 장령, 교리, 1854년 동부승지, 경상좌도 암행어사, 1858년 곡산부사, 1861년 열하부사(熱河副使)로 중국에 가서 국제정세를 보고 왔다. 1862년 진주민란 안핵사, 이듬해 이조참의, 1864년(고종1) 도승지, 대사헌, 제학, 이조참판, 1865년 한성판윤, 공조판서로 경복궁 영건도감 제조(提調)를 겸하였..